목록분류 전체보기 (138)
DOing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FF1NB/btq2ZpczVvd/BKeWE1QNlSoGOO6heWfnZk/img.png)
웹서버를 배포하려다보니 .war, .jar 파일이 헷갈려서 짚고 넘어가보려고 한다. [ JAR ] 자바프로젝트 압축 파일포맷 Java Archive 자바 클래스 파일과 클래스가 이용하는 관련 리소스 및 메타 데이터를 모아서 배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패키지 파일포맷이다. - 원하는 구조로 구성 가능 - JRE(Java Runtime Envirment)만 가지고도 실행 가능 [ WAR ] 웹 어플리케이션 압축 파일포맷 Web application Archive Servlet/Jsp 컨테이너에 배치할 수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 압축 파일 포맷이다. JSP, Servlet, Class, XML, HTML, Javascript 및 웹 애플리케이션을 함께 이루는 자원들을 모아 배포하는 데 사용된다. 즉, 웹 관련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k9zgV/btq2P32yejf/SfXw14SpFW70B3IjYrNRI0/img.png)
우선 화면 녹화방법은 윈도우인지 mac인지에 따라 다르다. 윈도우에는 윈도우 내장 프로그램인, 게임바를 사용한다. mac은 또 다른 내장 프로그램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 녹화를 위한 활성화 ] 1. 윈도우 설정 > 게임 탭 클릭 2. 게임바 활성화 3. 캡처에서 세부 설정 [ 화면 녹화 ] '윈도우 + G'로 화면 게임바가 켜진다. 녹화버튼을 누르게 되면 화면 녹화가 시작된다. 녹화를 시작하게 되면 오른쪽 상단에 툴바가 뜨며 종료하는 순간 자동 저장이 된다. 녹화 위치는 따로 지정하지 않았다면 videos>Captures에 저장된다. [ 녹화 영상 편집 ] 편집 프로그램 역시 다양하게 있겠지만 화려한 기능이 필요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윈도우 내장 프로그램인, 비디오 편집기를 사용한다. 1. 비디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WO1Z3/btq5G0IpZ97/iokanzWzvfN6gKqmVPJpWk/img.png)
AWS를 사용할 때는 '보안'에 항상 유의해야한다. 실제로 AWS 계정이 해킹되어 과금이 나오는 사례들도 있다. 뿐만아니라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해 AWS계정 내에 특정 리소스가 중지도거나 삭제될 수도 있고 회원정보와 같은 민감한 정보들이 유출될 수도 있다. 때문에 AWS에서는 하나의 AWS계정내에서 사용자별로 권한을 분리하고 인증 방식을 제어하는 통합관리체계 서비스인 IAM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IAM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 IAM Identity & Access Management(신원 및 접근관리) AWS IAM은 user, group, role을 만들고 관리하며 AWS 리소스에 대해 접근제어와 권한 관리를 제공한다. AWS 계정안에 IAM 사용자(user)를 생성하여 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EwmEP/btq2NFzD6C3/awQMYDD9RFqgVtyiEwOY8k/img.png)
RDS는 MariaDB를 사용 중이다. 스프링부트 프로젝트에서 이 MariaDB를 이용하기 위해선 몇가지 작업이 필요하다. 1. 테이블 생성 2. 프로젝트 설정 3. EC2(리눅스서버) 설정 1. RDS 테이블 생성 : 스프링부트에서 JPA-H2를 사용하면 자동으로 생성해주던 테이블들을 MariaDB에선 직접 생성해줘야한다. 여기서는 JPA가 사용하는 엔터티 테이블과 스프링 세션 테이블 두종류를 사용한다. 엔터티 테이블은 테스트 코드 수행시 로그로 생성되는 쿼리를 확인하면된다. nohup.out의 로그를 복사하여 RDS에 반영하면된다. 스프링 세션 테이블은 schema-mysql.sql파일에서 확인할 수 있고 그대로 복사하여 RDS에 반영하면된다. RDS에 접속하는 방법은 여러개 있지만, 그 중에서 my..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xbmzS/btq2Nq3tll0/6Vtj54ITmCLbqDiq59OrKk/img.png)
1. EC2서버에 git 설치 깃헙에서 코드를 받아올 수 있게 EC2에 git을 설치한다. sudo yum install git git --version git clone으로 프로젝트를 저장할 디렉토리 생성하고 생성된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mkdir ~/app mkdir ~/app/step1 cd ~/app/step1 2. git clone 깃헙 리포지토리에서 주소를 복사해온 후에 git clone을 진행한다. git clone (깃헙 리포지토리 주소) 3. 테스트 검증 gradlew 파일 덕분에 EC2서버에 gradle을 설치하지않아도된다. gradlew 파일은 그레이들이 설치되지 않은 환경에서도 해당 프로젝트에 한해서 그레이들을 쓸 수 있도록 지원하는 wrapper파일이다. 해당 파일을 직접 이용하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lUS3N/btq2NyfLiAY/LbX0twSYzBpuCENnfsNrJ1/img.png)
RDS 인스턴스에 접속하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다. 1. 로컬PC에서 접속 (public access 허용했을시에만 가능) 2. EC2로 접속 [ 로컬 PC에서 직접 접속 ] 1. 생성한 데이터베이스의 보안그룹 수정 생성한 데이터베이스를 클릭해서 연결&보안 탭을 확인한다. (database port는 mysql이라 3306) 인바운드 : 데이터베이스 서버입장에서 안으로 들어오는것 아웃바운드 : 데이터베이스 서버입장에서 응답하는것 지금은 보안그룹의 인바운드를 수정할것이다. 상단의 보안그룹 클릭! 2. MySQL workbrench에 새Connection추가 로컬에서 원격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때 GUI 클라이언트를 많이 사용한다 Workbrench, SQLyog 혹은 인텔리제이에서 Database 플러그인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uxRo0/btq2L3numNe/k4IOnjX55K6O9PzKa9FwR1/img.png)
RDS를 처음 생성하면 필수로 해야할 설정들이 있다. 1. 타임존 -> select now()로 확인가능 2. Character Set 1. 파라미터 그룹 생성 2. 파라미터 그룹 패밀리 주의해야할 것은 파라미터 그룹 패밀리이다. 연결할 RDB 인스턴스의 데이터베이스엔진 버전을 맞춰야한다. 3. 파리미터 그룹 편집 4. 타임존을 Asia/Seoul로 지정 time_zone을 검색하여 찾고 Asia/Seoul로 지정한다. 5. Character Set수정 char로 검색해서 나오는 6개 항목들을 utf8mb4로 지정한다. utf8과 utf8mb4의 차이는 이모지 저장 가능여부이다. utf8는 이모지를 저장할 수 없지만 utf8mb4는 이모지를 저장할 수 있다. 보편적으로 utf8mb4를 많이 사용한다. c..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4bhIY/btq2MlA4yOR/AKOmVMq4mASVyD5hJKnhtk/img.png)
RDS(Relational Databse Servic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RDS는 MySQL이나 오라클 같은 데이터베이스의 설치, 모니터링, 백업, 알람 등 관리를 대신해주는 서비스이다. 정보가 유출되거나 유실되지 않도록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것은 상당한 비용과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커지는 규모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는것은 숙련된 DBA들이 필요한 일이다. AWS에서는 하드웨어 프로비저닝, 데이터베이스 설정, 패치 및 백업과 같이 잦은 운영 작업을 자동화하며 비용 효율적이고 크기 조정 가능한 DB서비스를 지원한다. RDS를 통해 개발자는 개발이라는 본질적인 작업에 집중할 수 있게된다. RDS에서는 Amazon Aurora, PostgreSQL, MySQL, Mar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