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38)
DOing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Y7icT/btq8xevSk01/TgvmtKUxR5oF0eAjGVLyCk/img.png)
제가 최근 진행하는 팀에서는 카톡이 아닌 슬랙만을 사용하여 소통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제가 직접 사용해본 결과 너무 만족스러워서 이에대한 포스팅을 해보려고 합니다. ✨ 슬랙? : 슬랙은 협업을 위한 메신저이다. Tiny Speck이라는 게임 회사에서 내부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만들었는데, 실리콘밸리에서 엄청난 호응을 얻어서 게임 개발을 접고 슬랙을 본업으로 바꾸었다고 한다. 특히 무료 버전으로 가입해도 인원수와 기능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저장 공간과 검색가능 메시지의 제한은 있다: 참고 링크) 우리나라에서도 IT기업과 스타트업중심으로 슬랙을 기업용 메신저로 점차 도입하고 있다. ✨ 카톡 VS 슬랙 1. 보안 : 기업의 업무내용는 보안이 중요한데, 카톡의 경우에는 애초에 기업용 메신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2fAwp/btramg7ntkm/TKgeqgA1Zc03MRGTnq0950/img.png)
🌊 WIL 3 2021.6.21 ~ 2021.6.27 ⛵ 협업 툴 활용하기 : 노션 항해에서 팀 협업들을 거치면서 협업툴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겠다고 느끼고 있다. 알고리즘 스터디에서는 팀원들간의 의 문제 풀이에 대한 코드와 해석을 서로 공유하기 위해서 노션을 사용했다. 그동안은 개인적인 노트 용도로만 노션을 사용했었는데 협업툴로써 노션을 처음 써보게되었다. 내가 느낀 협업 툴로써의 노션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1. 직관적이다보니 노션을 사용해본 적이 없는 팀원들도 빠르게 적응할 수 있다. 2. 공유하기의 옵션을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편집 허용/불가) 3. 특정 사람들을 초대할 수 있고 모든 사람에게 공개할 수도 있다. 꾸미는 것도 시간 대비 너무 이쁘게 나와서 요즘 재밌게 꾸미고 있다. 노션에 생..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suhQQ/btq755e1Yv0/KdhHfxZ02BsEbpU0CQQ10k/img.png)
예외처리의 목적 1. 예외의 발생으로 인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비정상 종료를 막기 위해서 2. 개발자에게 알려서 코드를 보완할 수 있도록 하게 위해서 🧐 자바의 예외 클래스 - Error : 프로그램이 종료되어야하는 심각한 상황이다. : 대부분 컴퓨터나 JVM이 시스템적으로 동작할 수 없는 상황을 표현한다. - Exception : 프로그램이 종료되지는 않지만 처리되어야하는 예외나 문제상황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다. 🧐 Try - Catch - Finally구문 try에는 예외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코드를 넣는다. catch에는 에러 발생시 처리해야할 코드를 넣는다. finally에는 예외의 발생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수행되어야하는 코드를 넣는다.(선택 사항) import java.io.FileOutp..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IFdHD/btq70nhlGDT/2t1CAg9z4DndtukKT53Rr1/img.png)
🌱 접근 제어자(한정자) 멤버 변수와 메소드에는 접근 제어자를 지정할 수 있다. 접근 제어자를 사용하는 이유는 객체들간 관계에 따라서 접근할 수 있는 것과 아닌 것, 권한을 구분하기 위해서이다. 클래스 내부에 선언된 데이터의 부적절한 사용으로부터 보호해야하는데 이것을 바로 캡슐화라고 한다. 접근 제어자는 캡슐화를 돕는 도구 중 하나이다. 동일한 클래스 같은 패키지 내 모든 클래스 다른 패키지의 상속된 클래스 다른 패키지의 상속되지 않은 클래스 public O O O O protected O O O X default O O X X private O X X X private : 어떠한 경우에도 사용이 불가능하다. 해당클래스 내부에서만 사용가능하다. default : 동일한 패키지라면 상속 여부에 상관없이 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96AeT/btq70CSIxyj/DnUicxjbntFq2Gk3ENHE1k/img.png)
에러를 보아하니 딱봐도 인텔리제이 사용하는 동안 앞으로도 자주 날 것같은 에러다. 두고두고 봐야할 것같아서 포스팅하려고 한다. 😕 MS949 에러 1. unmappable character for encoding MS949 에러 발생 윈도우의 기본 인코딩은 MS949이다. 한글을 제대로 인식할 수 없기때문에 일어나는 문제였다. 파일 인코딩 설정을 MS949에서 UTF-8로 변경해주면된다. 인코딩이란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나 기호들을 컴퓨터가 이용할 수 있는 신호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내가 짠 코드를 컴퓨터가 해석할 수 있게 만들어주려고 하는 과정에서 에러가 난 것이다. 2. File > Settings 3. Editor > File Encodings 4. UTF-8로 설정 -> OK 5. 에러 해결! 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VjXTG/btq7Y3XsPuU/AUdmPvdCi24TTcFYJYQJs0/img.png)
🌱 클래스 클래스? 클래스란 속성(상태) + 메소드(행위)를 정의해놓은 것이다. ex ) 붕어빵틀 인스턴스? 인스턴스란 클래스로부터 만들어진 객체이다. ex ) 붕어빵 [ 코드 : 클래스 사용하기 ] class Phone { String model; String color; int price; void printInfo(){ System.out.println("철수는 이번에 " + model + color + " 색상을 " + price + "만원에 샀다."); } }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hone galaxy = new Phone(); galaxy.model = "Galaxy10"; galaxy.color = "B..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ASkvG/btq7U2pUgvJ/XoMn546vmVpcDzQtNGvjLK/img.png)
💡 Stack(스택) : 스택은 한쪽 끝으로만 자료를 넣고 뺄 수 있는 자료 구조이다. : LIFO(Last In, First Out) 구조이다. 💡 스택의 특징 [ 장점 ] : 구조가 단순해서 구현이 쉽다. : 데이터 저장/읽기 속도가 빠르다. [ 단점 ] 1) 데이터 최대 갯수를 미리 정해야한다. -> 데이터를 무한정으로 쌓을 수는 없다. 쌓기위해서는 미리 최대 공간을 확보해야한다. -> 파이썬의 경우 재귀함수는 1000번까지만 허용한다. 1000개만큼의 공간 확보했단 소리기도 하다. 2) 저장 공간의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 최대 갯수를 미리 정해야하기때문이다. [ 스택 활용 ] : 프로세스 실행 구조 더보기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상태를 프로세스라고 하는데 프로세스안에서 함수가 호출되는 형태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y8LTC/btq7NzIFSiJ/mq8qQpfdiR32IPERMkxURK/img.gif)
💡 이진 탐색 트리(Binary Search Tree) : 이진트리에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조건이 있는 트리 1) 모든 노드는 왼쪽 가지에 포함되는 어떤 숫자보다도 큰값을 가진다. 2) 모든 노드는 오른쪽 가지에 포함되는 어떤 숫자보다도 작은값을 가진다. 해당 그림에서 볼 때 14를 예시로 들어보자. 1) 14는 왼쪽가지에 포함되는 11보다 큰값을 가진다. 2) 14는 오른쪽가지에 포함되는 15,18,19보다 작은값을 가진다. 💡 이진 탐색 트리 삽입, 탐색 동작과정 [ 탐색과정 ] 1. 찾는 숫자가 현재 노드 값과 같다면 탐색 성공! 2. 찾는 숫자가 현재 노드 값보다 작다면 왼쪽으로 간다. 3. 찾는 숫자가 현재 노드 값보다 크다면 오른쪽으로 간다. [ 삽입과정 ] 1. 삽입할 숫자가 현재 노드 값보..